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최근 다시 논란된 '토지거래허가제'… 그 뜻과 문제점,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최근 정부가 서울 강남 일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해제했다가 다시 재지정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지며 부동산 시장이 크게 술렁였습니다. 오늘은 이슈가 된 '토지거래허가제'의 의미와 문제점, 주요 지정 지역과 향후 전망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최근 다시 논란된 '토지거래허가제'… 그 뜻과 문제점,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토지거래허가제란?

토지거래허가제는 투기 과열을 막기 위해 특정 지역을 지정해 토지나 부동산을 거래할 때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 주요 허가 대상 면적 (예시)

  • 주거지역: 18㎡ 초과
  • 상업지역: 20㎡ 초과
  • 녹지지역: 100㎡ 초과

허가를 받지 않고 거래를 하면 계약이 무효가 됩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어떻게 지정될까?

많은 분들이 "동 전체나 아파트 단지 전체가 지정되는 거냐?" 궁금해하시는데요.

정답은 NO!

토지거래허가구역은 '필지(토지 단위)'로 아주 세밀하게 지정되기 때문에,

  • 같은 동네,
  • 같은 아파트 단지 안에서도

허가 대상 세대와 비대상 세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주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아파트 예시

지역아파트 단지비고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재건축 대장주, 반복 지정
강남구 삼성동 래미안삼성1·2차, 아이파크 고가 단지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 추진, 해제·재지정 반복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고가 단지, 투자수요 집중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고급 주거지, 고가 거래

💡 TIP: 아파트 단지 전체가 아니라, 일부 동·일부 세대만 해당될 수 있어요!

내 집이 토허제 대상인지 확인하는 법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 메뉴 → '토지거래허가구역'
  • 지역 검색 후 필지별 확인 가능

2️⃣ 해당 구청 부동산정보과 전화 문의

 

토지거래허가제의 문제점

  • 실수요자도 거래 제한 → 매물 잠김, 시장 경직
  • 투기 차단 효과 한계 → 법인·우회 거래 여전
  • 정책의 일관성 부족 → 해제했다 재지정, 혼란 유발
  • 지역 간 역차별 발생 → 특정 지역만 잡는 형평성 논란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과 정부 과제

이번 논란은 정부의 시장 관리 역량과 정책 신뢰성에 경고등을 켠 사례로 평가됩니다.

✔ 향후 예상되는 방향:

  • 규제와 완화의 롤러코스터 정책 지양
  • 실수요자 보호 강화
  • 거래 투명성 확보 및 AI·빅데이터 기반 시장 관리 강화
  • 예측 가능한 정책 운영 중요성 커질 것

마무리

토지거래허가제는 집값 안정과 투기 억제를 위한 수단이지만, 운용 방식이 불안정하면 시장을 더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처럼 해제 후 며칠 만에 다시 재지정하는 사례는 정부 정책 신뢰에 큰 상처를 줬습니다.

부동산 거래 전 반드시 토지거래허가 여부부터 확인하세요!
👉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에서 쉽게 확인 가능!